티스토리 뷰

 

t3a.small 인스턴스에 설치했다. CPU 타입은 x86

ec2-user로 로그인 후 root 계정으로 진행.

  • sudo yum -y update
  • sudo yum -y install gcc make

인스턴스 이것저것 업그레이 완료 후,

그리고 사용하기 편한 디렉토리로 이동 배치

  • mkdir /etc/redis 
  • mkdir /var/lib/redis
  • cp src/redis-server src/redis-cli /usr/local/bin/
  • cp redis.conf /etc/redis/

설치된 환경에 맞춰 설정파일 수정. 보통 크게 4군데(?) 수정.

  • ...
  • daemonize yes [no -> yes]
  • ...
  • bind 127.0.0.1
  • ...
  • dir /var/lib/redis
  • ...
  • requirepass [your password]
  • ...

환경에 맞춰서 세팅. 디렉토리 생성 및 파일 이동

  • mv redis-server /etc/init.d
  • chmod 755 /etc/init.d/redis-server
  • 필요하다면 경로 수정 : vi /etc/init.d/redis-server 내용 중 > redis="/usr/local/bin/redis-server"

인스턴스 재시작 같은 경우에 Redis 자동 재시작을 위한 세팅

  • chkconfig --add redis-server
  • chkconfig --level 345 redis-server on

설치 및 설정 완료후 Redis 서버 시작

  • service redis-server start

완료 후 redis 클라이언트로 접속 테스트

  • redis-cli -h 127.0.0.1 -p 6379 -a 'your password'
  • keys *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